치과를 말할 때 20개의 통찰력있는 인용구

치과 분야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낮추기 위한 교육 주기 단축은 부적절하고, 최소 9년 이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대한치과의사협회 치과의료정책연구원(원장 김영만, 이하 정책공무원)은 치과 방사선 실습 주기에 대한 적절성을 인지하기 위해 ‘치과 진단용 방사선 학습 주기 개선을 위한 동향 조사’ 테스트를 진행했고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이슈리포트를 발행했다.

지난 9월 질병케어청은 국민과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고 건강보호를 위한 안전관리책임자의 인식개선을 이유로 진단용 방사선 안전케어책임자 실습(이하 방사선 실습)을 개원 후 1회에서 매 9년마다 정기적 이수로 변경한 바 있을 것이다.

요번 공부는 정책공무원 진승욱 공부조정실장(치협 정책이사)을 중심으로 내부 공무원들이 진행했고, 주요 단어는 방사선 실습에 대한 국내외사례와 국민과 관계 업무자의 치과방사선 피폭선량을 살펴보았다. 초안 마련 후 대한영상치의학회 민창기 교수(전북대 치대 영상치의학) 등의 감수 절차를 거쳐 최종 완성했다.

테스트 결과의 말을 인용하면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일본의 사례를 살펴봤을 때, 위험성 높은 원자력, 사업방사선의 교육이 1~3년의 주기를 가진 것과 달리 치과 진단용 방사선 교육의 주기를 따로 규정하고 없으며, 1년 주기로 교육을 시행하는 국가는 없었다.

또한 일반 국민의 치과방사선 피폭선량은 국내 0.017mSv, 미국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earch/?query=부산치과 0.041mSv, 영국 0.005mSv 등으로 낮았고, 치과 업무자의 피폭선량 역시 타 업종보다 아주 낮았으며, 국외에서도 같은 결과였다.

그런가하면 비교적으로 위험성이 낮은 진단용 의료방사선에 대한 규제가 강해 간소화할 욕구가 있고, 방사선 방호와 선량케어를 위한 방법으로 실습 주기의 조아이디어다 모니터링, 장비 품질관리 등 방사선 환경 개선 및 관리 부분의 강화를 제언하였다.

image

실험를 주도한 정책연구원 진승욱 실험조정실장은 “국회에서 실습 주기를 해운대치과 변경할 때 충분한 검토가 있었는지, 파악관계자의 의견은 여유있게 반영된 것파악 의문을 가지고 요번 실험를 시작했었다. 비슷한 단어의 규칙적인 실습으로 피폭선량을 낮추기보다 현실적인 의료기관의 방사선 방호를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치협은 교육 주기 개선과 부적당하게 심한 규제를 완화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김영만 정책공무원장은 “즉시 내년부터 변경된 학습 주기 적용으로 우려의 음성이 높다고 느끼고 있을 것입니다. 임직원들의 고충을 덜 수 있는 다양한 공부 사업을 추진하는데 매진하겠다”며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또한 이번 이슈리포트는 방사선 교육 현안에 호기심을 가질 수 있게 치과의사 직원들에게 이메일로 배포됐고, 이슈리포트와 실험보고서는 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